Mac Os로 개발을 진행하는 와중에 회사의 VPN이 폐쇄망, 내부망, 외부망으로 나누어지며 폐쇄망에서 내부망으로 접근하게 해주는 외부 소프트웨어(windows only)를 필시 사용하게 됨에 따라 맥환경을 포기하고, 윈도우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때문에 비슷한 환경을 설정해주기 위하여 WSL2를 설치하는걸 기본 전제 조건으로하며 본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1. apt upgrade & php install # apt 최신화 및 php, mysql 서버 설치 sudo apt update & upgrade sudo apt install php-fpm php-curl php-mbstring php-mysql php-xml php-cli unzip network-manager libnss3-tool..
맥북으로 개발을 시작한 지 어느덧 6개월. MacOS 개발 환경에 익숙해져서 그런지 Windows OS에서 개발을 진행하기 여간 적응되지 않았습니다. VPN 문제로 인해 강제적으로 Windows 환경에 익숙해져야 했기 때문에 Windows에서 최대한 MacOS 느낌을 살리고자 노력했습니다. 1. Windows 11 Update 하기 macOS의 장점중 하나인 트랙패드를 활용한 분할 데스크톱 기능이 Windows 11에서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별도의 트랙패드가 없는 데스크톱에서 작업할 때에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ctrl + windows + 방향키] 조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래처럼 새로운 데스크톱을 생성하여 프로그램을 띄운 후 위의 조합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합니다. 2. MacOS의 터미널 ..
M1 Pro칩 MacBook에서 Local환경으로 PHP 개발을 진행할 때, PHPStorm에 Xdebug를 연동하여 사용해봅니다. 1. php version 및 macOS 버전 확인 ## PHP 버젼 확인 $ php --version ## PHP에 맞는 MacOS 확인 $ file'which php' php --version 명령어로 확인하면 현재 설치된 PHP에 xDebug가 확장되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with Xdebug" 항목이 없으면 확장되지 않은 상태임으로 확장이 필요합니다. [file `which php`] 명령어로 현재 설치되어있는 php가 어떤 프로세스에 적합한지 확인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arm64 프로세스에 적합한 php가 깔려있다는 예제. 2. 각자에 맞는 a..
인텔리제이(IntelliJ) 에서 디버깅을 진행하던 와중, 브레이크 포인트를 설정하였는데 디버거바에는 표시가 안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Run] - [show Breakpoints]를 들어가보면 설정한 브레이크포인트가 잘 표시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application은 잘 실행되고 있는데 디버거상태바에 아무것도 표시가 안되고, Resume Program도 비활성화 처리가 되어있다. 이럴때 [File] - [Invalidate Caches / Restart] 를 실행하여 IntelliJ를 재시작 후 디버깅을 재실행 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큐(Queue)란? 최근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를 풀어보면서 스택/큐 태마에 문제를 풀다 문득, 큐에 대한 정의를 확실히 내릴 수 없었습니다. 코드와 씨름하며, 프레임웍과 aws sdk들과 씨름하며 기능개발에 몰두하는 것도 좋지만 기본기를 다지고 싶었습니다. 때문에 자료구조에 대해서 정리해봅니다. 자료구조 안에서 큐(Queue)란 무엇일까요? 1. 큐의 개념 정리 먼저 들어온 자료가 먼저 나가는 선입 선출 형태의 자료구조를 큐(Queue)라고 합니다. Queue(큐)라는 영단어 자체가 티켓 등의 표따위를 구매하기 위해 줄을서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큐는 대기열 이라고도 합니다. 데이터가 들어오는 위치는 대기열의 가장 뒤에서 들어오고 그것을 Rear 혹은 Back이라고 합니다. 데이터가 나가는 위치는 ..
스택(Stack)이란? 최근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를 풀어보면서 스택/큐 태마에 문제를 풀다 문득, 스택에 대한 정의를 확실히 내릴 수 없었습니다. 코드와 씨름하며, 프레임웍과 aws sdk들과 씨름하며 기능개발에 몰두하는 것도 좋지만 기본기를 다지고 싶었습니다. 때문에 자료구조에 대해서 정리해봅니다. 자료구조를 생각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스택(Stack)이란? 무엇일까요? 1. 스택의 개념 정리 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구조(LIFO - Last In First Out)으로 되어 있습니다. 자료를 넣는 것을 '밀어넣는다' 하여 푸쉬(push)라고 합니다. 반대로 넣어둔 자료를 꺼내는 것을 팝(pop)이라고 하는데, 이때 꺼내지는 자료는 가장 최근에 푸쉬한 자료부터 나오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