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acityBuilding19 [네트워크관리사 2급 독학로그] ARP,RARP,ICMP,IGMP,DHCP 정리 주소변환 ARP, RARP ARP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상대방 호스트의 IP주소를 알고 데이터 통신을 위해 그 호스트의 물리 주소를 알고자 할 떄 사용하는 프로토콜 이다. IP주소를 물리주소로 매핑해주는 프로토콜이다. 동적 바인딩 ARP는 호스트의 IP 주소를 대응하는 물리 주소로 변환하여 실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해준다. IP 주소 : 32 bit (4 bytes) 물리주소 : 48 bit (6 bytes) ARP 요청 : broadcasting ARP 응답 : unicasting Proxy ARP 다른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의 물리주소를 얻고 싶을 때 사용한다. RARP Revers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물리주소만 알고 있는 호스트.. CapacityBuilding/네트워크관리사 취득 2020. 5. 17. [네트워크관리사 2급 독학로그] UDP 와 TCP 정리 UDP UDP 비연결형 서비스 UDP 정의 User Datagram Protocol 전송 계층 프로토콜 Process-to-process protocol [비교대상] IP : host-to-host protocol 비연결성과 비신뢰성 기본적인 IP 데이터 전달 서비스에 프로세스 간 통신이 추가된 형태이다. 연결성 보장과 신뢰적 전송에 소요되는 오버헤드가 없다. 간단한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데 유리하다. 응용 프로세스의 데이터 전송 응용 프로세스는 다음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른 응용 프로세스 전송을 할 수 있다. UDP : 비연결형,비신뢰성 전송 서비스 TCP : 연결형,신뢰성 전송 서비스 포트 번호 사용(프로세스들을 구별하기 위함) UDP의 특징 UDP = 비연결형 IP 전달 서비스 + 검사합(c.. CapacityBuilding/네트워크관리사 취득 2020. 5. 17. [네트워크관리사 2급 독학로그] TCP/IP 개념 및 기본구조 정리 TCP/IP 개념과 기본 구조 TCP/IP 의 등장 Internetworking Technology 네트워크들을 상호 연결하는 기술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DoD ARPA (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IP Internet Protocol Suite 1982년 미군 컴퓨터 네트워키의 표준으로 제정. DoD 모델 (DARPA 모델) 4계층 모델로써 OSI 7 Layer와 비슷함. (최하위 물리계층 빼고) TCP/IP 주요 특징 연결형(TCP) 서비스 및 비연결형(IP) 서비스 제공 패킷 교환 동적 경로 할당 공통의 응용 프로그램 제공.. CapacityBuilding/네트워크관리사 취득 2020. 5. 17. [네트워크관리사 2급 독학 로그] 헷갈리는 기출문제 정리 및 해설 Q : '10.0.0.0/8'인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는?? 10.0.0.0 : A클래스 IP에 해당한다. /8 : 사이더(CIDR)라고 하며 연속된 IP 주소의 범위를 표기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사용하고자 할 때는 나타내고자 하는 주소 범위에서 앞쪽의 공통부분(접두어)를 표기하고 슬래스(/)뒤에 몇 비트가 접두어인지 사용하는 형태. 결론 : /8은 앞의 8bit가 접두어임을 의미한다. 10.0.0.0/8은 10.0.0.0 ~ 10.255.255.255 까지의 주소 범위를 나타낸다. 위 IP는 A클래스이다. 따라서 A클래스 에 해당하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x.x.x 위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를 물어보았으니 최소 같거나.. CapacityBuilding/네트워크관리사 취득 2020. 5. 16. [네트워크관리사 2급 독학 로그] 공부 시작, 시험 D - 7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시험을 접수하고 공부를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눈떠보니 어느덧 시험 D - 7일 이 되었습니다. 스스로 변명아닌 변명을하자면 회사업무도 바뻤고, 휴일에는 학사 공부하기 바뻐서 자격증 공부 시간을 따로 내기가 어려웠습니다..허허 시험 과목 소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네트워크 일반 - 네트워크 개요,데이터통신 관련기술,통신망 기술 표준과 네트워크,네트워크 설계, 구축 고속 LAN 기술 및 광대역 통신,각종 통신 기술,기타 - TCP / IP - TCP/IP,IP Address,Subnet Mask,IP Routing Packet 분석,기본 프로토콜,응용 프로토콜, 기타 - NOS - File/Print,IIS,DNS,FTP등,Active Directory,사용자관리 및 권한 시스템.. CapacityBuilding/네트워크관리사 취득 2020. 5. 10. 방송통신대학교 vs 사이버대학 vs 학점은행제 2018년 8월, 전문학사를 취득한 후 방송통신대학교(이후 방송대) 3학년으로 편입.방송대 입학, 사이버대 입학, 학점은행제로 학사취득 등등 많은 고민을 했었습니다. 기존 대학 교수님, 전 전 직장 팀장님, 전 직장 팀장님, 주위 선배님들, 현직장 선배분들 등 많은 분들께 많은 조언을 구하고 내린 결론은 방송대 편입 입니다. 방송대를 선택한 첫번째 이유는 "착한 등록금"교재비 포함 한학기 45만원이라는 적은 금액으로 배움과 학위를 동시에 노릴 수 있다는게 첫번째 이유입니다. 방송대를 선택한 두번째 이유는 "주위 시선" 때문이였어요.방송대 vs 학은제 vs 사이버대 키워드로 수많은 포스트를 접해봤지만결국 나중에 알아주는 곳은 방송대 밖에 없다는 중견기업 인사담당자(지인)분의 말을 최우선적으로 신용했어요. .. CapacityBuilding/컴퓨터공학 학사학위 취득 2018. 9. 3. [학점은행제] 컴퓨터 네트워크 전문학사 취득 후기 2018년 8월 31일 금요일. 학점은행제를 통해 컴퓨터네트워크 전문학사를 취득했습니다. 학점은행제라는 제도를 알게 되었었고, 이전 중퇴한 대학교의 학점을 이어갈 수 있다는 것 또한 알게 되어 학점은행제를 진행했습니다. 처음 학점은행제에 대해 알아봤을 때, 학점은행제를 진행하는 학습자의 포스팅이 아닌 학습플래너들이 학점은행제 들으라고 올려놓았던 포스팅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정보가 없어 많이 찾아봐야 했습니다.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되라고 포스팅 남깁니다. 위 사진은 진행됐던 전문학사 취득할 때까지의 학점인정 내용입니다. 학점은행제로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평가인정 학습 과정(학점은행제 위탁 교육기관)에서 18학점 이상을 무조건 이수해야 학위취득이 가능합니다. 저는 이전 대학 학점인정이 53학.. CapacityBuilding/컴퓨터공학 학사학위 취득 2018. 8.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