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만 말씀드리자면 엄청 쉬웠습니다; 저의 기준으로 이론 및 개론, 책을 보며 블로그에 정리하며 공부하고 시험 하루 전에 cbt기출문제 6회분 풀고 시험보고 합격했습니다. 그러니 겁내지 않으셔도 될듯합니다. 개발자 여러분, 혹은 컴퓨터 공학생 여러분이라면 대학교에서 정보통신개론 및 운영체제를 배울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그 두개의 과목에서 시험문제는 다 나옵니다. 정보통신개론에서 배운 내용들이 TCP/IP, 네트워크일반,네트워크 운용기기 파트의 문제로 출제되었고 운영체제 혹은 Linux 운영체제에서 배운 내용이 NOS 파트의 문제들로 출제되었습니다. 그 두가지 이론 및 개론 과목을 잘 따라갔다면 cbt 문제은행에서 과거 기출문제 10회차 정도 쭉 풀고, 오답노트 작성 후 외우기 형식으로 공부하면 약..
주소변환 ARP, RARP ARP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상대방 호스트의 IP주소를 알고 데이터 통신을 위해 그 호스트의 물리 주소를 알고자 할 떄 사용하는 프로토콜 이다. IP주소를 물리주소로 매핑해주는 프로토콜이다. 동적 바인딩 ARP는 호스트의 IP 주소를 대응하는 물리 주소로 변환하여 실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해준다. IP 주소 : 32 bit (4 bytes) 물리주소 : 48 bit (6 bytes) ARP 요청 : broadcasting ARP 응답 : unicasting Proxy ARP 다른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의 물리주소를 얻고 싶을 때 사용한다. RARP Revers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물리주소만 알고 있는 호스트..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시험을 접수하고 공부를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눈떠보니 어느덧 시험 D - 7일 이 되었습니다. 스스로 변명아닌 변명을하자면 회사업무도 바뻤고, 휴일에는 학사 공부하기 바뻐서 자격증 공부 시간을 따로 내기가 어려웠습니다..허허 시험 과목 소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네트워크 일반 - 네트워크 개요,데이터통신 관련기술,통신망 기술 표준과 네트워크,네트워크 설계, 구축 고속 LAN 기술 및 광대역 통신,각종 통신 기술,기타 - TCP / IP - TCP/IP,IP Address,Subnet Mask,IP Routing Packet 분석,기본 프로토콜,응용 프로토콜, 기타 - NOS - File/Print,IIS,DNS,FTP등,Active Directory,사용자관리 및 권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