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SQLD 시험 범위와 출제 형태가 처음 바뀐 시험에 뛰어들었습니다. 좀 더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용들이 출제된다고 생각되었고,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과목을 공부하면서 함께 취득하면 좋을 것 같았습니다. 너무 늦었지만 SQLD 취득 후기겸 포스팅 작성합니다.
본론
현업자로서 이론파트 부분과 새로 출제되는 윈도우 함수 부분, 그리고 SQL 활용 부분을 중점적으로 공부하였고 앞서 생각한데로 정보처리기사 공부와 겹치는 내용이 많았기 때문에 학습에 있어서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공부 기간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현업에서 개발을 하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이론적인 부분과 실무에서 잘 사용하지 않았던 SQL 활용 파트 부분을 공부하는데 중점을 맞춰서 2주정도 공부하면 무난하게 합격하실 것 같습니다. 비전공자 분들께서는 한 달 여유를 잡고 공부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이런 자격증 하나에 2주에서 한 달 씩이나..? 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시험 응시료를 보기 전 까지는요.. 응시료가 상당히 비쌉니다. 무려 50,000원 이나 하는 거금이기 때문에 한 번에 취득을 목표로 잡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결론
SQLD 자격증은 본인의 데이터베이스 개념 지식을 좀 더 강화하기에 좋은 자격증 같습니다. 유효기간은 5년이지만 만료때 네트워크관리사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교육을 수료하면 영구 자격증으로 바뀌는 것 같은데, 그 때 가서 해보고 후기 추가하겠습니다.
'CapacityBuilding > SQLD 취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SQL 기본 - 함수, 조인, 표준 조인 요약 (1) | 2024.02.07 |
---|---|
[SQLD] SQL 기본 - SELECT, WHERE, GROUP BY, HAVING, ORDER BY 요약 (1) | 2024.02.06 |
[SQLD] 데이터 모델과 SQL - 관계/조인, 트랜잭션, Null속성, 본질 vs 인조 식별자 요약 (2) | 2024.02.05 |
[SQLD] 데이터 모델과 SQL - 정규화 요약 (0) | 2024.02.02 |
[SQLD]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관계, 식별자 요약 (0) | 2024.02.01 |